검색 닫기
2025.08
150호
Current
산림녹화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되다
VIEW.30
: 조은노
사진 : 도 산림정책과, 산림조합중앙회 강원지역본부, 연합뉴스









기적으로 불리는 ‘민관협력으로 이룩한 산림녹화모델’

화전정리, 요접법, 공무원 복지 조림지 현황 자료 등, 기록물 28%는 강원 이야기


지구 환경 복원의 세계적인 모델로 일컬어지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 성공적으로 일궈낸 한국 산림녹화 사업의 축적 변화를 담은 기록물이 세계 인류 문화유산이 됐다.

지난 4월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제221차 회의를 열고, 대한민국 산림녹화 기록물과 제주 4·3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UNESCO Memory of the World)를 결정했다.

6.25 전쟁 이후 황폐해진 국토를 복구하기 위해 1961년 산림법을 제정하고, 정부와 국민이 함께 추진한 산림녹화 사업의 전 과정을 담은 자료로 법령, 공문서, 사진, 필름 등 총 9,619건으로 구성돼 있다.


양묘, 조림 및 육림, 영림계획, 산림보호·관리·정책, 사방 및 임도, 화전정리, 연료림, 시험 및 연구, 교육 및 행사, 국제협력, 홍보 등에 관한 자료를 모았다. 지난 2016년 임업인들이 주축이 돼 세계기록유산 추진을 결의한지 9년 만이다.

특히 DMZ와 5개의 접경지역이 있는 강원자치도는, 1975년 강원도청과 도 경찰청 공무원들로 구성된 복지조림조합이 추진한「범도민 식수 운동을 선도적으로해 법인설립 당시부터의 사료들이 온전히 보전되어 있는 등 선정의 관건이 될 수 있는 자료 목록을 보유, 이번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큰 역할을 했다. 또한 보관된 화전 관리도는 1974년 강원도지사와 산림청장, 도내 21개 시장・ 군수, 읍・ 면・ 동장이 함께 연대책임을 확약한 것으로 그 역사적 가치가 높아 이번 등재 과정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1996년 식목일 행사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이 춘천시 사북면 일원에서 식수하는 장면

 

 



1974년 6월5일 복지 조림지 시찰


무엇보다 도는, 남한에서 경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면적인 16.8% 달하는 규모인데 이 중 81.4%인 13,735.9㎢가 임야인 만큼 전국 지방자치단 체 중 가장 많은 기록물을 제출, 2,700건으로 28%에 달했다. 1960년부터 1991년까지의 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2차 대단위 화전정리 사업은 물론 요접법에 관한 사료 등 도가 독자적으로 추진한 다양한 산림사업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산림 녹화사업은 산림청이 1973년부터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 계획(1973~1978)을 수립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사방공사, 화전정리, 조림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산사태, 가뭄 등의 재해를 예방하고 황폐화한 국토를 회복시켜 이후 경제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
1960년 초부터 현재까지 심은 나무는 전체 120억 그루(2020년 기준). 1974년 한 해에 심은 나무는 전국 2만7천 개소에서 3억 1,100만 그루라고 한다. 1960년 5.6㎡/㏊에 불과했던 산림은 1970년 11㎡/㏊, 2020년에는 165.6㎡/㏊로 반세기 만에 산림자원의 양이 15배 증가, 개발도상국에서 산림녹화 선진국으로 도약했다.
이 기록은 세계적으로도 전무후무한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국토의 63%가 산림으로 구성, 세계 평균의 2배(31%)로, OECD 국가 중 국토 면적 대비 산림 비율이 네 번째로 높다.
산림의 공익적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면 259조 원, 산림 산업 매출액 규모 146조 원, 산림 분야 일자리 수 54만 명, 사업체 수도 14만 개에 이른다. 산림 분야 국제기구로 아시아 산림 협력 기구 창설에 이어 2021년 제15차 세계 산림총회를 개최했으며 우리 도는 지난 2023년 강원 세계 산림엑 스포를 성공적으로 끝냈다.

한편, 사막화 방지, 생물다양성 추진 등 급격한 기후변화 시대에 미래를 준비한 모델로 인정받은 이 기록물은 앞으로 자료 목록에 명기한 자료의 실물을 확보 작업을 거쳐 추후 일반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1974년 공무원 복지조림 식목일 행사

 

1974년 퇴적토 운반 과정

 

이번 선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화전 관리대장

 

 

 

1989년 설악산 관광 단지

 


 


1986년 강원도청 진입로 식목일 행사

 

 

1967년 산림청 개청 헌판식

 

 

1986년 식목 행사